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적합한 연산 증폭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설계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과 더불어서 데이터 시트에 표기된 사양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돕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데이터 시트 사양을 이해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배경 정보를 설명합니다. 증폭기에 관련된 기초적인 원리들을 설명합니다. 이상적 모델을 사용해서 두 가지 간단한 증폭기 회로를 분석합니다. 또한 연산 증폭기 회로 개략도를 사용해서 파라미터들이 어떻게 연산 증폭기의 이상적인 기능들을 제한하는지 살펴봅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연산 증폭기 사양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연산 증폭기 사양에 관한 논의를 위해서 Texas Instruments의 참고 자료인 “Amplifiers, Comparators, and Special Functions”를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 이 논의를 통해서 Texas Instruments가 연산 증폭기 파라미터를 어떻게 정의하고 테스트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연산 증폭기(op amp)라고 하는 용어는 1940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외부 소자들을 적절히 선택해서 다양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증폭기를 말합니다. 초기의 연산 증폭기는 진공관을 사용했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많은 에너지를 소모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디스크리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해서 연산 증폭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연산 증폭기는 모노리딕 IC로 구현됨으로써, 고도로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인 가격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